6월은 바다와 강에서 나는 해산물이 풍성해지는 계절입니다. 기온이 올라가면서 바닷물의 온도도 적당히 따뜻해지고 자연스럽게 생선과 해산물들이 살이 통통하게 오르는데요. 오늘은 6월 제철 해산물과 횟감 생선을 정리해드릴테니 제철음식 드시고 건강 챙겨보자구요!
6월 제철 횟감 생선
1. 농어
농어는 여름철 대표 보양 생선입니다. 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해서 기력이 떨어지기 쉬운 계절에 체력 회복을 도와주는데요. 특히 6월에는 살이 통통하게 올라 회로 먹을 때 가장 맛이 좋습니다. 고소하면서도 담백한 맛으로 많은 사람들의 입맛을 사로잡는 생선이죠.
2. 광어
언제 먹어도 맛있는 광어지만 6월의 광어는 유독 더 쫄깃하고 부드럽습니다. 고단백 저지방 식품으로 다이어트를 하는 분들에게도 좋은 선택입니다. 회로 즐기기에도 손색이 없고 숙성회로 먹으면 감칠맛이 배가됩니다.
3. 병어
병어는 6월부터 7월까지가 가장 맛있는 시기입니다. 비린내가 거의 없고 고소하면서도 담백한 맛으로 회는 물론 구이, 조림으로도 인기가 높습니다. 칼로리가 낮아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생선입니다.
4. 가자미
가자미는 살이 부드러워 회로 먹을 때 식감이 정말 좋습니다. 6월은 가자미가 살을 가장 많이 찌우는 시기라 회로도 좋고 조림용으로도 딱입니다. 특히 가자미의 단백질과 비타민 D는 뼈 건강에도 유익합니다.
6월 제철 해산물
1. 갑오징어
갑오징어는 봄부터 여름까지 제철이며 6월이 가장 맛이 좋을 때입니다. 단백질이 풍부하면서도 지방 함량은 낮아 다이어트 중인 분들에게도 추천할 만한 해산물입니다. 회, 초무침, 볶음, 튀김 등 어떤 요리로 해도 맛있게 즐길 수 있습니다.
2. 장어
6월의 장어는 기력을 보충하는 데 최고입니다. 고단백에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여 여름철 체력 보강 식재료로 손꼽힙니다. 구이나 탕, 덮밥 등으로 다양하게 요리해 먹을 수 있어 여름철 대표 보양식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3. 다슬기
다슬기는 여름철 해장 음식으로 유명합니다.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간 기능 개선과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주는데요. 특히 다슬기국은 깔끔한 국물 맛이 일품이라 여름철 별미로 제격입니다.
4. 소라
소라는 단백질과 미네랄, 특히 비타민 B12가 풍부해 체력 보충과 혈액순환에 좋은 해산물입니다. 쫄깃쫄깃한 식감이 일품이며 회나 숙회, 초무침 등으로 즐기기에 좋습니다.
마무리
6월은 해산물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최고의 계절입니다. 제철 생선과 해산물은 맛은 물론이고 영양도 뛰어나 여름철 건강관리에 제격입니다. 특히 회를 좋아한다면 이번 달에는 꼭 농어, 광어, 병어 같은 생선을 한 번쯤 맛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신선한 제철 음식은 몸도 마음도 살찌게 한다는 것 잊지마시고 여름을 맞이하는 여러분의 식탁이 풍성하고 건강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5.05.26 - [인싸정보] - 6월 축제 가볼만한 곳 서울 경기도 위주 BEST 5
6월 축제 가볼만한 곳 서울 경기도 위주 BEST 5
이제 곧 여름이 시작되는 6월이 다가옵니다. 오늘은 그래서 6월 축제 가볼만한 곳에 대해 정리해드리며 서울, 경기도 위주 BEST 5 축제에 대해 알려드릴까 하는데요. 수도권 위주 축제들이라 접근
becauselast78.tistory.com
2025.05.20 - [인싸정보] - 예금자 보호법 1억 시행시기 언제 새마을금고 신협
예금자 보호법 1억 시행시기 언제 새마을금고 신협
예금자 보호한도가 1억 원으로 확대된다는 소식을 들으셨나요? 그동안 5,000만 원까지만 보호되던 예금자 보호한도가 드디어 24년 만에 상향 조정됩니다. 오늘은 그래서 예금자 보호법 1억 시행시
becauselast78.tistory.com
'인싸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휴가 계곡 추천 경기도 서울 위주 TOP 5 (3) | 2025.06.14 |
---|---|
이삭토스트 창업비용 월 순수익 매출액 완벽정리 (1) | 2025.06.07 |
6월 축제 가볼만한 곳 서울 경기도 위주 BEST 5 (2) | 2025.05.26 |
예금자 보호법 1억 시행시기 언제 새마을금고 신협 (0) | 2025.05.20 |
제21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소 장소 찾기 날짜 준비물은? (2) | 2025.05.15 |
댓글